분류 전체보기
-
고구려인의 텃밭에 상추가 심어졌다.카테고리 없음 2022. 11. 5. 20:35
[상추가 '천금채'로 불린 사연] "부루(상추)가 천금을 줘야 살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귀한 남새(채소)였던 때도 있었다." 11일 북한의 문예월간지 조선문학 1월호는 "예나 지금이나 조선 사람들의 식생 활에서 부루는 누구나 좋아하고 즐겨먹는 남새"라며 민족의 대표적인 쌈거리인 상추 가 삼국시대 이후 천금채(千金菜)로 불린 사연을 소개했다. 잡지에 따르면 고구려인들은 일찍부터 텃밭에 상추를 심어 반찬을 만들고 된장 을 발라 밥을 싸먹기도 했다. 당시 상추라는 채소를 몰랐던 이웃나라 사람들은 고구려의 독특한 '쌈 문화'와 상추의 맛을 신기하게 여겼고 저마다 상추 종자를 구하려 애썼다. 중국 수(隨)나라도 예외가 아니었다. 수나라는 사신까지 보내 상추씨를 보내줄 것을 거듭 요청했으며 고구려는 "너그럽고 아량..
-
[펌]된장의 유래와 역사카테고리 없음 2022. 11. 5. 20:33
된장의 유래와 효능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다양하면서도 독창성을 지닌우리 장류의 기원은 콩의 원산지인 한반도에서 농경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에서 삼국사기에 시가 처음 나오는데 신라 신문왕 3년(683년)왕비 간택으로 입궐할때 폐백품목으로 쌀, 꿀, 술, 장, 시, 포, 혜 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당시의 중요한 기본 식품 증의 하나로 생각된다. 시를 배염유숙이라 설명하는데 숙은 콩이고, 유는 어둡다는 뜻이므로 콩을 삶아 어둡다는 뜻에서 발효시켜 소금을 섞은 것이다. 된장의 유래에 대해 살펴보면 이웃 나라인 중국에도 전래되어,중국인들은 고구려인들을 보고 발효식품을 잘 만든다고 하면서, 우리 된장 냄새를 고려취(高麗臭) 라고 불렀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 메주가 전래되면서 중..
-
고조선 의 상징물카테고리 없음 2022. 11. 5. 20:20
고조선은 만주와 한반도에서 사는 부족연합의 국가를 말한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동이족이라고 불렸다. 활을 잘 쏘는 민족! 동쪽에 사는 오랑캐라고 한다. 삼태극은 '천,지,인' 매우 중요시 여겼다.. 그래서 고구려, 백제, 신라, 부여등.. 한반도에서 무덤 주변에 삼태극 모양 문위를 많이 볼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삼태극은 많이 애용하는 나라는 역시 조신인입니다. 이용한 물건, 부채, 올림픽 마크 등... 아하! 한글도 천.지.인으로 만들었지!! 태극과 삼태극의 차이점 그리고 한글의 천지인 관계표
-
고려(高麗) 유래 의미!카테고리 없음 2022. 11. 5. 20:08
실제 고구려의 국기와 고려의 국기는 왕의 행차나 행사때 사용하는 거였습니다. 그래서 실제 국기로 보기는 무리입니다. 왕건은 궁예를 몰아내고 나라 이름을 '고려'라고 하였다. 고려는 주몽이 세운 고려(高麗, 기원전 37년~668년)를 계승하자는 뜻으로 정한 국호이다. 원래 궁예가 건국한 나라 이름도 고려(高麗)였으나 이후 마진(摩震)을 거쳐 태봉(泰封)으로 변경되었다. 왕건은 궁예를 몰아내고 나라 이름을 고려로 환원하였다. 고구려는 장수왕이후 정식 국호를 '고려'로 정하였으나, 왕건이 건국한 이 '고려'와 구별하기 위하여, 현대에는 고구려(高句麗)와 고려(高麗)로 각각 구별하여 부른다. 고려(高麗)의 순우리말 독음이 고려가 아니라 '고리'라는 의견이 있다. 고려(高麗)는 왜의 고대기록에 발해를 고려왕(高麗..
-
-
한복에 대한 전문가 의견카테고리 없음 2022. 11. 5. 19:56
바지·저고리차림' 한복 원류는 스키타이 문화> 그러나 학계에 따르면 한복의 원류는 중국이 아니다. 그 뿌리를 찾기 위해서는 기원전 7∼3세기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활동한 유목 민족 스키타이(사카)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고대 한반도는 스키타이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한복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바지저고리, 치마저고리와 같은 이부식(二部式·투피스) 차림새가 이때부터 형성돼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국 복식 전문가인 최은수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은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우리 옷은 스키타이계 문화권에 속한다"며 "스키타이는 말을 타는 유목 민족으로 오늘날 승마복처럼 발목 쪽으로 좁아지는 간편한 차림새가 특징"이라고 말했다. '한국복식문화사'를 저술한 김문자 수원대 의류학과 교수도 '고대..